2024년 마을지원활동가 임기현

마을공동체 지원활동가
홈 마을공동체 2마을공동체 지원활동가 2024

2024년 마을지원활동가 임기현

rkddbwjd97 0 169
1. 처음 마을지원활동가에 지원하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고, 마을 지원활동가의 주된 업무와 역할은 무엇인가요?

처음에 마을지원활동가를 지원하게 된 계기는 “한 번 해보고 싶다.”라는 순수한 동기가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몇년동안 지역에서 마을활동을 하면서, 처음에는 단순 참여자로, 그 다음에는 회계 담당으로, 그 다음에는 대표로 활동을 하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마을활동의 영역 중 또 다른 활동의 영역인 ‘마을지원활동가’에 관심이 생겨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마을지원활동가의 주된 업무는 마을공동체들이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한편, 마을공동체들이 한 단계 더 성장을 할 수 있게 돕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2. 처음 지원했을 때랑 실제 활동을 하고 나서 달라지신 점이 있으신가요? (마음가짐, 생각 등) 또한 앞으로도 계속 활동을 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마을지원활동가로 활동을 하면서 우리 마을과 공동체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담당 공동체들, 그리고 담당하지는 않지만 활동가로 활동하면서 알게 된 공동체들을 보면서 우리 지역에 다양한 마을공동체들이 많은 활동을 한다는 것을 몸소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특히나 우리 지역의 너무나 멋지고 좋은 주민들이 많다는 것 또한 느꼈습니다. 이후에도 마을지원활동가로 활동할지에 대해서는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3. 활동을 하면서 어려웠던 순간이나, 보람 있었던 순간 등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으신가요?

대다수의 마을공동체들의 구성원들은 대게 중장년층의 기성세대입니다. 그에 반해 저는 30대 초반의 활동가입니다. 그러다 보니 마을지원활동가로서 처음 활동을 할 때에는, “마을공동체의 어른들께 실례를 범하지 않을까?” 라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초반에 마을공동체를 대하는데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결되었습니다.

4. 마을지원활동가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위탁의 형태를 취하는 센터의 직원, 혹은 직영의 형태를 취하는 센터의 직원(공무원), 그 어떠한 형태에서든 마을지원활동가는 필요합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마을공동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꼽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게 센터의 직원은 행정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수많은 공동체들을 직접적으로 만나 뵙기에는 시간상 한계가 굉장히 큽니다. 그래서 이러한 맥락에 비추어 보았을 때, 마을지원활동가는 센터와 마을공동체 사이의 가교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마을공동체를 더 잘 홍보할 수 있는 방법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사업’에 대해 계속해서 주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마을공동체의 영역을 처음 알게 된 것은,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사업’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지원사업에서 처음에는 참여자로, 그 다음에는 회계로, 그 다음에는 대표로 역할을 확장해 나가며 마을공동체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사업의 핵심은 공동체들이 모일 수 있는 ‘비용’을 지원해주는 것인데, 이러한 지원을 중심으로 한 홍보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마을공동체가 형성되는데 좋은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고 여겨집니다.